티스토리 뷰
반응형
정해진 일정보다 앞당겨 치러진 대통령선거, 일명 조기대선.
그 중심엔 2016년부터 대한민국을 뒤흔든 국정농단 사태가 있었고, 결국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2017년 5월 9일, 대한민국 최초의 조기대선이 실시되었죠.
🔥 국정농단 사건부터 탄핵까지
2016년 하반기,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터지면서 국민적 분노가 폭발했습니다.
전국적으로 촛불집회가 이어졌고, 결국 국회는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2017년 3월 10일, 재판관 8인 전원 일치로 탄핵을 인용했고, 그 즉시 대통령직은 박탈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헌법 제68조 2항에 따라,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 선거가 실시되어야 했고,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통령선거가 열렸습니다.
🗳️ 제19대 조기대선 개요
- 투표일: 2017년 5월 9일 (화요일)
- 후보자 수: 총 15명
- 투표율: 77.2% (역대 최고 수준 중 하나)
- 당선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 득표율: 41.08% (13,423,800표)
👥 주요 후보자 및 결과
후보자정당득표율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41.08%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24.03% |
안철수 | 국민의당 | 21.41% |
유승민 | 바른정당 | 6.76% |
심상정 | 정의당 | 6.17% |
문재인 후보는 박근혜 정권에 대한 심판론과 개혁 기대를 등에 업고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고,
당선 즉시 대통령직을 수행하며 국정의 공백을 최소화해야 했습니다. (이것도 조기대선의 특징!)
🧭 조기대선의 의미와 영향
- 헌정 질서 회복
국민의 손으로 권력을 다시 선택하며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 국민 참여의 상징
수백만 명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서 촛불을 들고, 투표로서 정권 교체를 이뤄낸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 선거문화의 변화
유례없는 상황 속에서 TV토론, SNS 캠페인, 청년층의 적극 참여 등 새로운 선거 트렌드도 나타났습니다.
2017년 제19대 조기대선은 우리나라 헌정 역사상 전환점이 된 사건이자,
국민 주권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반응형